정말 오랜만에 이 곳에 글을 올리네요;;
그만큼 얕았던 저의 지식이 바닥이 났다는 것도 되고,
아는 것은 많은데, 이 것을 어디에다 응용 시켜야 되는지 몰라서 못 올린 부분도 있습니다^^
우선 이번에는 네트워크 어댑터(랜카드)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할 일은 명령프롬프트 창을 여는 것입니다.
이 것은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번째 방법은 [실행] 창을 이용하여 여는 방법입니다.
우선 실행창을 여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 윈도우 버튼 + R키를 누르는 방법과
두 번째, 시작버튼을 누른 뒤에 실행 버튼을 누르는 방법입니다. ([시작]->[실행])
Windows7의 경우는 제가 아무리 눈을 씻고 찾아봐도 실행 버튼을 찾을수가 없더군요..
하지만 [시작]버튼을 누른 뒤,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탭에 입력하시면 같은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실행 창을 띄웠으면 이제 "cmd"
라고 입력을 한 뒤 [Enter]를 누릅니다.
이 때에 대/소문자 상관하지 않습니다.
물리적 주소란 그 해당 기계에 부여된 고유 address입니다. 앞의 어느 시점까지는 제조 회사를 의미하며, 뒤에 부분은 제조일자, 제조 번호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 것은 ip주소처럼 유동적인 주소가 아니라(바뀌는 주소가 아니라), 한번 부여되면 영원히 바뀌지 않는 주소입니다. 그래서 종종 유용하게 쓸 수 있을 때가 있습니다.
어떤 곳에서는 physical address를 Mac address라고 부르는 곳도 종종 있습니다.
즉, Physical, 물리적, Mac이라는 용어를 다 기억해 두셔야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ex) 넷스팟 존에서 로그인 없이 사용 가능, 개인 무선 공유기가 있을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 가능!
- 명령프롬프트 : 과거에 DOS, MS-DOS를 사용했을 때의 명령 방식을 사용하여 CUI환경을 사용합니다. 컴퓨터를 시작할 때, Windows시리즈 부터 사용하신 분들에게는 다소 낯선 방식. Windows는 GUI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에 편리성을 강조한 경우입니다. 하지만, 사용의 편의성만을 강조하다보니 다소 시스템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지원이 떨어지게 되고 이 것을 보완한 부분이 이 명령 프롬프트 입니다. 일반 사용자는 다소 사용할 일이 없습니다. 서버관리자,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종종 사용하는 것을 봤고, 그 외에 컴퓨터를 주 업으로 하는 분들이 종종 사용 합니다.
(이 정보는 제가 기억하고 있는 기억으로 부터 나온 자료이므로 정확한 정보가 아님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제가 지금 뉴질랜드에 있고, 무선 공유기를 구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만약 무선 공유기를 구하게 된다면, 무선공유기를 사용한 Physical address이용 방법을 글을 올리겠습니다.
언제가 될 지 모르지만, 다음번에는 넷스팟 로그인 없이 이용하는 방법도 올리겠습니다.
언제나 부정확한 정보를 공유하는 regulus!!!
그만큼 얕았던 저의 지식이 바닥이 났다는 것도 되고,
아는 것은 많은데, 이 것을 어디에다 응용 시켜야 되는지 몰라서 못 올린 부분도 있습니다^^
우선 이번에는 네트워크 어댑터(랜카드)의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할 일은 명령프롬프트 창을 여는 것입니다.
이 것은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번째 방법은 [실행] 창을 이용하여 여는 방법입니다.
우선 실행창을 여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 윈도우 버튼 + R키를 누르는 방법과
두 번째, 시작버튼을 누른 뒤에 실행 버튼을 누르는 방법입니다. ([시작]->[실행])
Windows7의 경우는 제가 아무리 눈을 씻고 찾아봐도 실행 버튼을 찾을수가 없더군요..
하지만 [시작]버튼을 누른 뒤,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탭에 입력하시면 같은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실행 창을 띄웠으면 이제 "cmd"
라고 입력을 한 뒤 [Enter]를 누릅니다.
이 때에 대/소문자 상관하지 않습니다.

첫 번째 방법으로 "명령 프롬프트"창을 여는 것이 어려우신 분들은,
시작버튼을 누른 뒤에 프로그램, 보조프로그램에 들어가면 이 창을 열수 있는 "명령 프롬프트"라는 탭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시작]->[프로그램]->[명령 프롬프트]

그러면 다음과 같은 창을 보실 수 있게 됩니다.

많은 이들이 이 창은 무엇에 쓰는 창일지 궁금하셨을 것입니다.
이 것에 대해서는 마지막에 간단히 설명을 하겠습니다.
이제 "ipconfig /all"이라고 입력을 한 뒤에 [Enter]를 누릅니다.
이때 "ipconfig"만 입력했을 때는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를 확인 할 수 없으니 주의하세요^^*
모든 입력이 끝나면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LAN Card(랜카드)의 물리적 주소를 찾아 보실 수 있습니다.

(물리적 주소를 살짝 수정 한 것입니다)
물리적 주소란 그 해당 기계에 부여된 고유 address입니다. 앞의 어느 시점까지는 제조 회사를 의미하며, 뒤에 부분은 제조일자, 제조 번호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 것은 ip주소처럼 유동적인 주소가 아니라(바뀌는 주소가 아니라), 한번 부여되면 영원히 바뀌지 않는 주소입니다. 그래서 종종 유용하게 쓸 수 있을 때가 있습니다.
어떤 곳에서는 physical address를 Mac address라고 부르는 곳도 종종 있습니다.
즉, Physical, 물리적, Mac이라는 용어를 다 기억해 두셔야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ex) 넷스팟 존에서 로그인 없이 사용 가능, 개인 무선 공유기가 있을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 가능!
- 명령프롬프트 : 과거에 DOS, MS-DOS를 사용했을 때의 명령 방식을 사용하여 CUI환경을 사용합니다. 컴퓨터를 시작할 때, Windows시리즈 부터 사용하신 분들에게는 다소 낯선 방식. Windows는 GUI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에 편리성을 강조한 경우입니다. 하지만, 사용의 편의성만을 강조하다보니 다소 시스템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지원이 떨어지게 되고 이 것을 보완한 부분이 이 명령 프롬프트 입니다. 일반 사용자는 다소 사용할 일이 없습니다. 서버관리자,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종종 사용하는 것을 봤고, 그 외에 컴퓨터를 주 업으로 하는 분들이 종종 사용 합니다.
(이 정보는 제가 기억하고 있는 기억으로 부터 나온 자료이므로 정확한 정보가 아님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제가 지금 뉴질랜드에 있고, 무선 공유기를 구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만약 무선 공유기를 구하게 된다면, 무선공유기를 사용한 Physical address이용 방법을 글을 올리겠습니다.
언제가 될 지 모르지만, 다음번에는 넷스팟 로그인 없이 이용하는 방법도 올리겠습니다.
언제나 부정확한 정보를 공유하는 regulus!!!
'컴퓨터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이 되지 않을 경우! -DeskTop편 (0) | 2012.05.03 |
---|---|
네스팟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네스팟 존에서 무선 인터넷 이용하기!!! (0) | 2011.07.17 |
Internet Explorer VS Fire Fox (0) | 2011.02.25 |
스카이 베가 프로요 업데이트 후기!! (0) | 2011.01.05 |
ASUS 노트북 구매를 하였습니다. (13) | 2010.12.21 |